알고리즘

프로그래머스 - 푸드 파이트 대회

김핵센 2023. 6. 8. 11:43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1.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2.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3.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수웅이는 매달 주어진 음식을 빨리 먹는 푸드 파이트 대회를 개최합니다. 이 대회에서 선수들은 1대 1로 대결하며, 매 대결마다 음식의 종류와 양이 바뀝니다. 대결은 준비된 음식들을 일렬로 배치한 뒤, 한 선수는 제일 왼쪽에 있는 음식부터 오른쪽으로, 다른 선수는 제일 오른쪽에 있는 음식부터 왼쪽으로 순서대로 먹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중앙에는 물을 배치하고, 물을 먼저 먹는 선수가 승리하게 됩니다. 

 

이때, 대회의 공정성을 위해 두 선수가 먹는 음식의 종류와 양이 같아야 하며, 음식을 먹는 순서도 같아야 합니다. 또한, 이번 대회부터는 칼로리가 낮은 음식을 먼저 먹을 수 있게 배치하여 선수들이 음식을 더 잘 먹을 수 있게 하려고 합니다. 이번 대회를 위해 수웅이는 음식을 주문했는데, 대회의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음식을 주문하여 몇 개의 음식은 대회에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3가지의 음식이 준비되어 있으며, 칼로리가 적은 순서대로 1번 음식을 3개, 2번 음식을 4개, 3번 음식을 6개 준비했으며, 물을 편의상 0번 음식이라고 칭한다면, 두 선수는 1번 음식 1개, 2번 음식 2개, 3번 음식 3개씩을 먹게 되므로 음식의 배치는 "1223330333221"이 됩니다. 따라서 1번 음식 1개는 대회에 사용하지 못합니다. 

 

수웅이가 준비한 음식의 양을 칼로리가 적은 순서대로 나타내는 정수 배열 food가 주어졌을 때, 대회를 위한 음식의 배치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2 ≤ food의 길이 ≤ 9 
  • 1 ≤ food의 각 원소 ≤ 1,000 
  • food에는 칼로리가 적은 순서대로 음식의 양이 담겨 있습니다. 
  • food[i]는 i번 음식의 수입니다. food[0]은 수웅이가 준비한 물의 양이며, 항상 1입니다. 
  • 정답의 길이가 3 이상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food result
[1, 3, 4, 6] "1223330333221"
[1, 7, 1, 2] "11130311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 두 선수는 1번 음식 3개, 3번 음식 1개를 먹게 되므로 음식의 배치는 "111303111"입니다.

 

문제 풀기 설명

solution.js

function solution(food) {
    let answer = '';
    for(let i=1; i<food.length; i++) {
        let count = food[i]
        if(count % 2 !== 0) {
            count -= 1
        }
        answer += String(i).repeat(count/2)
    }
    const reverseStr = answer.split("").reverse().join("")
    return answer+"0"+reverseStr;
}
  1. 반복문을 사용하여 food 배열의 길이만큼 순회한다.
  2. count라는 변수를 만들어서 food 배열의 첫 번째 값부터 넣는다.
  3. 만약 count라는 변수가 홀수라면 1을 뺀다.
  4. i를 문자열로 바꾼 후 count를 2로 나눈 값을 반복하여 answer 변수에 더한다.
  5. reverseStr 변수에 answer 문자열을 거꾸로 뒤집은 값을 담는다.
  6. answer+"0"+reverseStr 값을 모두 더한 문자열을 return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