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핵센
핵센의 개발공부로그
김핵센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66)
    • 창업 (1)
    • Flutter (1)
    • Javascript (9)
    • Git 강의 (2)
    • 항해99 (11)
    • 알고리즘 (25)
    • Node.js (11)
    • Network (1)
    • Database (2)
    • AWS (1)
    • Nest.js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가장 가까운 같은 글자
  • 팀과제
  • 항해99
  • 내장모듈
  • 혼자 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
  • Wil
  • JavaScript
  • 스파르타코딩클럽
  • 제로초
  • 주특기 입문주차
  • 창VOD
  • 알고리즘
  • 주특기입문주차
  • 창업 노하우
  • 푸드 파이트 대회
  • 주특기주차
  • 크기가 작은 부분문자열
  • git
  • til
  • 추억 점수
  • worker_threads
  • 혼공스
  • 내장 모듈
  • 혼자공부하는자바스크립트
  • 명예의 전당 (1)
  • node.js
  • searchParams
  • github
  • 프로그래머스
  • 1주차 마무리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김핵센

핵센의 개발공부로그

프로그래머스 - 약수의 개수와 덧셈
알고리즘

프로그래머스 - 약수의 개수와 덧셈

2023. 5. 21. 00:33

문제 설명

길이가 같은 두 1차원 정수 배열 a, b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a와 b의 내적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이때, a와 b의 내적은 a[0]*b[0] + a[1]*b[1] + ... + a[n-1]*b[n-1] 입니다. (n은 a, b의 길이)두 정수 left와 right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left부터 right까지의 모든 수들 중에서, 약수의 개수가 짝수인 수는 더하고, 약수의 개수가 홀수인 수는 뺀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1 ≤ left ≤ right ≤ 1,000

 

입출력 예

left right result
13 17 43
24 27 52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다음 표는 13부터 17까지의 수들의 약수를 모두 나타낸 것입니다.
수 약수 약수의 개수
13 1, 13 2
14 1, 2, 7, 14 4
15 1, 3, 5, 15 4
16 1, 2, 4, 8, 16 5
17 1, 17 2
  • 따라서, 13 + 14 + 15 - 16 + 17 = 43을 return 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2

  • 다음 표는 24부터 27까지의 수들의 약수를 모두 나타낸 것입니다.
수 약수 약수의 개수
24 1, 2, 3, 4, 6, 8, 12, 24 8
25 1, 5, 25 3
26 1, 2, 13, 26 4
27 1, 3, 9, 27 4
  • 따라서, 24 - 25 + 26 + 27 = 52를 return 해야 합니다.

문제 풀기 설명

solution.js

function solution(left, right) {
    let result = [];
    let cnt = 0;
    for(let i=left; i <= right; i++) {
        for(let j=1; j <= i; j++) {
            if(i % j === 0) {
                result.push(j)
            }
        }
        result.length % 2 === 0 ? cnt+=i : cnt-=i
        result = [];
    }
    return cnt
}
  1. result라는 빈 배열과 cnt라는 변수를 선언한다.
  2. 이중 반복문으로 left부터 right까지, 그 안에서 1부터 i까지 반복문을 통해 i를 j로 나눈 나머지 값이 0일 때 result라는 배열에 값을 넣는다.
  3. i 값이 ++이 되기 전에 배열의 길이를 체크해서 2로 나눈 나머지가 0이면 짝수이기 때문에 cnt 변수에 더한다.
    1이면 홀수이기 때문에 cnt 변수에서 뺀다.
  4. result를 다시 빈 배열로 만든다.
  5. 반복문이 끝나고 난 뒤 cnt 값을 리턴한다.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 문자열 다루기 기본  (0) 2023.05.22
프로그래머스 - 부족한 금액 계산하기  (1) 2023.05.21
프로그래머스 - 내적  (0) 2023.05.19
프로그래머스 -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0) 2023.05.18
프로그래머스 - 없는 숫자 더하기  (0) 2023.05.17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프로그래머스 - 문자열 다루기 기본
    • 프로그래머스 - 부족한 금액 계산하기
    • 프로그래머스 - 내적
    • 프로그래머스 -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김핵센
    김핵센
    개발 공부 관련 글을 적는 블로그입니다.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