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자바스크립트 - 객체의 기본 속성 지정하기
객체의 기본 속성 지정하기 일반적인 함수 const test1 = function (name, age, color) { return `${name} : ${age} : ${color}` } console.log(test1('구름', 7, '갈색')) 현대적인 형태의 함수 const test2 = function (object) { return `${object.name} : ${object.age} : ${object.color}` } console.log(test2({ name: '구름', age: 7, color: '갈색' })) 위와 같은 강아지의 이름과 나이와 색깔을 받는 함수를 만들고 console.log를 찍었을 때 test1과 test2 함수의 출력값은 동일하다. 그렇지만 두 번째로 만든 함..
자바스크립트 - 조건문
if 조건문 if 조건문은 조건에 따라 코드를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때 사용하는 구문이다. 코드가 실행되는 흐름을 변경하는 것을 조건 분기라고 부른다. if (condition1) { // 명령문1 } else { // 명령문2 } if 조건문 불 표현식의 값이 true 일 때 실행되는 문장이 1줄이면 중괄호를 생략할 수 있으나 코드의 가독성을 위해 중괄호로 감싸주는 것이 좋다. 자바스크립트는 조건문을 사용할 때 서로 반대되는 상황을 표현하는 구문을 제공하는데 , 바로 else 구문이다. else 구문은 if 조건문 바로 뒤에 붙여서 사용한다. 이를 조합한 조건문을 if else 조건문이라고 부른다. if else if 조건문은 중첩 조건문에서 중괄호를 생략한 형태로, 겹치지 않는 3가지 이상의 조건..

자바스크립트 - 기본 용어 및 자료와 변수
기본 용어 표현식: 값을 만들어내는 간단한 코드 문장: 하나 이상의 표현식이 모인 것 키워드: 언어가 처음 만들어질 때 정해진 특별한 의미가 있는 단어 식별자: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 console.log()의 console 과 log는 둘 다 식별자다.(log는 뒤에 괄호가 있으니 메소드라고도 말할 수 있음) Uncaught ReferenceError: konsole is not defined at :1:1 └ at :1:1 여기서 콜론1콜론1은 무슨 뜻일까..? 문자열 자료형 이스케이프 문자(\)란 문자열 내에서 특수한 기능을 수행한다. \n: 줄바꿈을 의미 \t: 탭을 의미 \\: 역슬래시(\) 그 자체를 의미 연산자 %(나머지 연산자)는 좌변을 우변으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 &&연산자는 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