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특기 입문 주차에 Node.js로 웹 서버를 만들면서 Express라는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게 되었다.
잘 모르고 사용하기보단 개념을 정리하면서 Express에 대해 알아보기로 했다.
Express를 알기 전에 프레임워크에 대해 정리해보자
프레임워크(Framework)란?
예를 들어 자동차로 이해해본다면
프레임워크는 자동차의 프레임, 즉 기본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뼈대를 말한다.
라이브러리는 자동차의 기능을 하는 부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굴러갈 수 있게 하는 바퀴, 헤드라이트, 와이퍼 등이 라이브러리라고 할 수 있다.
한 번 정해진 자동차의 프레임은 바꾸질 못한다.
소형차를 만들기 위해 뼈대를 사용하는데, 이 뼈대로 SUV를 만들 수는 없다.
그러나 바퀴나, 선루프, 헤드라이트 등은 비교적 다른 종류로 쉽게 바꿀 수 있다.
사실 자동차를 만들기 위해서 자동차의 프레임과 부품들을 가져다 쓰지 않아도 된다.
프레임을 일일이 만들고, 부품을 일일이 만들어서 자동차를 만들어도 된다.
그러나 너무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
그래서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가 존재하는 것이다.
내가 정말로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기본적인 뼈대와 부품을 가져다 쓰겠다는 것이다.
자동차에 하늘을 나는 기능을 온전히 구현하기 위해 자동차의 프레임과 부품을 아웃소싱 하겠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제 Express에 대해서 알아보자
Express란?
간단하게 말해서 Express는 Node.js로 서버를 빠르고 간편하게 만들 수 있게 도와주는 웹 프레임워크이다.
Express는 사실상 Node.js의 표준 웹 서버 프레임워크로 불려질 만큼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Express를 왜 사용해야 할까?
Express는 프레임워크이므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한 각종 라이브러리와 미들웨어 등이 내장돼 있어 개발하기 편하고, 수많은 개발자들에게 개발 규칙을 강제하여 코드 및 구조의 통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것이 바로 프레임워크 도입의 가장 큰 장점이다.
가장 많은 곳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Express를 도입하면 구글링을 통해 충분한 레퍼런스들을 검색할 수 있다.
'항해99'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99 - [Chapter 4] 미니 프로젝트 (W6) - WIL (0) | 2022.12.25 |
---|---|
REST API란? (0) | 2022.12.01 |
EC2 도메인 연결 이해하기 (0) | 2022.11.30 |
몽고DB로 테이블 설계 해보기 (0) | 2022.11.30 |
항해99 -[Chapter 3-1] 주특기 입문 (W3) - WIL (0) | 2022.11.27 |